공중 관계(Public Relations)에 있어서의 공익성 개념화 및 척도 개발 연구
한국PR학회 | 한국PR학회 | 45 pages| 2019.06.14| 파일형태 :
조회 913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배경 및 목적 PR은 조직이 공중을 관리하는, 경영 관리 차원에서의 기능주의적 역할이 주목되어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러나 PR의 개념 정의에서 알 수 있듯 PR은 조직과 공중과의 호혜적 관계를 바탕으로 공중과의 상호 이익, 공동의 이익 등을 담당한다. 이러한 PR이 지닌 자질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고자 본 연구는 PR 공익성 개념을 구명하고 척도를 개발하여 실증적 연구의 토대로 삼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공익성 개념이 사회구조 및 정치사상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므로, 철학사상적 접근을 통해 이론적으로 공익성 개념의 구성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PR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 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고차적 요인 분석, 측정동질성 분석 등 의 절차를 통해 PR 공익성 척도에 대한 타당도를 검정했다. 결과 PR 공익성 개념은 이론적 논의에 따라 ‘상호이익’, ‘열린 커뮤니케이션’, ‘사회정의실현’, ‘공동체이익’으로 구 성되었으며, 총 31개 문항이 최종 척도 문항으로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론적 차원에서 공익성 개념을 논의하고 개발된 분석도구에 대한 유용성을 검토하여 향후 공익성 관련 실 증적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PR 공익성 개념화를 통해, PR이 조직과 공중 간 관계에서 상호 이익을 도 모하고, 이익을 공유하는 가운데 이것이 사회 전체에 이익이 되고, 가장 기본적인 사회적 가치를 수호하는, PR의 사회적 공간이 확보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Criticism of public relations has mainly focused on organizations implementing public relations activities in to manage public perception, known as the functionalism perspective of business management. Based on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public, revealed in the definition of public re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within public relations activities, by discussing the notion that public relations is responsible for the mutual benefit of the public. Therefore, this study conceptualized public interest in public relations, developed the scale, and proceeded to validate it. Methods Since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structure and political ideologies, constituent factors of public interest are derived through a philosophical approach. Afterwards, this study collected items of similar measure, to the concept of constructive factors. Then,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experts, and content validity was confirmed. Validity of the scale was verified through procedures,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igh-order factor analysis, and psychometric equivalenc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oretical discussion,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is composed of ‘mutual benefit’, ‘open communication’, ‘social justice’, and ‘community interest’. A total of 31 items were derived, as final scale items. Conclusions The goal of public relations is focused on mutual benefi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s and the public. While sharing this mutual benefit, this will become a benefit of the society as a whole, protecting the most basic social values. The social space of public relations, will be secured through the extended role of public relations.
목차
국문초록
서론
문헌 고찰
철학사상을 통한 공익성 개념 논의
PR학에서의 공익성 개념 논의
PR에서의 공익성 개념화
연구 방법
연구 절차
측정 도구
연구 결과
델파이 조사 결과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연구문제 1>의 결과)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연구문제 1>의 결과)
준거 타당도 분석 결과 (<연구문제 2>의 결과)
고차적 요인 분석 (<연구문제 3>의 결과)
측정 동질성 분석 결과 (<연구문제 4>의 결과)
결론
한국PR학회 공중 관계 공익성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PR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