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THAAD) 이슈를 둘러싼 한국과 중국 공중 간 갈등 인식 변화 추이 연구 : 시계열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한국광고홍보학보 | 한국광고홍보학회 | 41 pages| 2020.06.10| 파일형태 :
조회 2126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2016년 7월 한국 내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 이하 사드)’ 배치 결정 후 한·중 간 첨예한 대립과 갈등의 상황에서, 갈등 주기 중 ‘갈등 고조기’와 ‘갈등 완화기’에 맞춰 패널을 구성하여 양국의 공중 간 사드갈등 쟁점 발생 요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 추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사드 갈등의 요인을 ‘국제정세와 정치적’, ‘자국의 안보적’, 그리고 ‘소통 미비에 의한 갈등관리 부실’ 등 세 가지로 규정하고, 2017년 하반기에 있었던 ‘한·중관계 개선에 대한 협의’를 포함한 양국 정부 간의 갈등완화를 위한 협력적 노력이 시행 된 시점을 전후로 각 요인에 대한 양국 공중의 인식 차이를 시계열 상호지향성 모델을 통해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국제정세와 정치적 요인’과 ‘자국의 안보적’ 요인에 대해서는 양국 정부 간 협력적 노력과는 관계없이 두 공중 집단이 상이한 인식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소통 미비에 의한 갈등관리 부실’에서는 두 공중 집단 간 ‘부(不)동의와 불일치적인’ 인식에서 ‘동의와 부분일치적’ 인식의 변화를 보였다. 이는 국가 간 갈등 상황에서 신뢰와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하는 갈등관리와 효과적인 상호지향적인 방안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양국 공중의 염원을 표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Using a time-series co-orientation model,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erceptional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n and Chinese regarding the THAAD conflict in terms of its perceptional attributes, that is, political, homeland security, and a lack of conflict management aspec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wo groups had different perceptions of political and homeland security, regardless of the two different times. However, the two had a quite same point of views on a lack of conflict management of the two countri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1. 문제제기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 이하 사드) #한·중 갈등 #갈등관리 #신현실주의 #상호지향성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THAAD) #South Korea #China #Conflict management #Neorealism #Co-orientation model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광고홍보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